Server 종류 및 구축에 필요한 기초지식 & 관심 목록
고가(?)의 서버를 구입 후 한두개의 서버를 운영하는 식의 돼지목의 진주목걸이 거는 식이 돼지 않기 위해....
구축 가능한 Server의 종류 및 Server 구축에 필요한 기초 지식, 그리고 개인적으로 만들어(?)보고 싶은 서버 등등...
1. Server 운영을 위해 알아두어야 할 개념
TwinIP : Iptime 공유기의 공인 IP 할당
DDNS : Dynamic DNS. DHCP를 통한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IP가 변경되어도 도메인명이 해당 IP를 찾아가는 방식.
NAS : Network Attached Storage. Network에 접속되도록 특화된 File Server
NetDrive : FTP를 Network Drive로 사용할 수 있는 Utility. FTP를 일반 HDD Disk를 사용하듯 사용하는 것이 특징
iptables : Linux의 전통적인 방화벽. 명시된 IP, Port의 차단 및 Forwarding이 가능하다.
Linux Directory : Linux의 각 Directory 별 쓰임새.
Language : Linux의 언어지원. Server를 이용하는 Client는 Windows가 될 예정이므로 상호 언어지원을 확인
mutt
2. 구축 가능 Server의 종류.
ssh : 원격 접속을 위한 가장 중요한 Server
File Server : vsftpd Server.
Web Server :
Web Album
Mail Server
iTunes Server
Streaming Server
Web HDD
iSCSI
WOL
sftp
mysql
3. 관심분야.
DB
'Project > Home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HS] OS & Partition (0) | 2012.06.06 |
---|---|
[HS] Network (0) | 2012.04.02 |
[HS] Home Server 구축 (0) | 2012.04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