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[Setup] Multi Operating System #4 Multi Booting을 위한 기본 설치는 완료되었다. 이제 마지막으로 기타 유용한 설정법들을 적오바자. Multi Booting시 부팅OS를 지정 할 수 있는가? 부팅 OS를 지정하는 부트로더는 마지막에 설치된 Ubuntu의 부트로더가 적용된다.(개인적인 생각으론 Ubuntu의 부트로더가 가장 우수하다 생각한다.) 멍청한 Windows7는 리눅스 파일 시스템을 인식하지 못한다. 따라서 특정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인식하게 만들어주자 http://sourceforge.net/projects/ext2fsd/files/Ext2fsd/0.51/Ext2Fsd-0.51.exe/download위 URL에서 받아 재부팅 후( 반드시 재부팅을 해줘야 한다. ) 간단한 마운트 후 탐색기에서 사용가능하다. CentOS는 같.. 더보기
[Ubuntu] grub2의 update-grub없이 부팅순서 바꾸기 하나의 하드 디스크에 여러 운영체제( 윈도우즈7, 센트오에스, 우분투 ) 를 넣고 설치완료 후 우분투를 가장 마지막에 설치하여 기본 부트로더는 우분투의 grub2로 설치되었다.문제는 이 grub2가 grub1에서와는 달리 /boot/grub/menu.lst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.당연히 설정파일이 없지는 않다. 권장하는 설정파일인 /etc/default/grub가 있긴 하지만 수정 후 update-grub명령어를 통해 부트로더를 업데이트하여 /boot/grub/grub.cfg가 최종 수정되어 부트로더에 수정 사항이 적용된다...... 하지만 다른 운영체제인 CentOS나 Windows7으로 부팅을 하게 된다면 update-grub의 명령어가 불가하다........결론적으로 update-grub를 사.. 더보기
[Setup] Multi Operating System #3 하나의 파티션에 여러 OS 설치하기 Windows - Linux - Linux를 설치해보자. OS의 버전들은 Windows7, CentOS6.2, Ubuntu12.04 설치 순서는 windows --> CentOS --> Ubuntu 장치는 VMWare로 설치. HDD는 50B Byte. Guest OS는 Windows7으로 했다. 위대하신 리눅스 님께서는 윈도우즈파일 시스템을 이해 할 것 같아 무작정 해봤다. 각 OS마다 HDD 용량은 10기가씩으로 잡고 나머지 용량은 세 OS가 공유 하는 것을 최종 목적으로 삼아보자 Windows 7 설치 완료. IP주소는 192.168.117.134 다음으로 CentOS 설치 CentOS 설치 도중 sda3 이후로는 파티션을 늘리지 못한다. 그 이상의 파티션 생성시.. 더보기